청년패널조사(YP) - 청년층의 학교에서 직장으로의 이행과정 및 노동시장 진입 후 이동경로 추적
관리기관 | 한국고용정보원 |
---|---|
출처 | 한국고용정보원 |
파일형식 | SAS, SPSS, STATA, EXCEL |
데이터 속성 | 아래 변수 매핑표 참조 |
원본생성일 | 2007년 |
수정일 | 2018년 |
라이선스 | 공익데이터 라이센스 |
데이터 참고사항 | 위 데이터는 패널데이터 입니다.
|
내용
해당 데이터는 패널데이터 입니다.
"패널데이터는 동일한 개체를 여러 시간에 걸쳐서 반복 관찰하여 얻은 데이터를 말합니다.
패널데이터는 특정 조건에 있는 사람이나 일반 가구, 가구 구성원, 기업을 장기간에 걸쳐 1년 또는 2년에 한 번씩 반복 조사하는데요, 동일한 표본을 반복적으로 조사하다보니 다른 변수의 영향력을 통제하고 시간 흐름에 따른 영향력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 좋은 데이터인만큼 예산이 많이 소요되는 데이터이기도 합니다.
함께 확인하고 토론할 게 많은 데이터인데도 불구하고 패널데이터를 한 눈에 보기는 쉽지 않습니다. 여기저기 산재해 있어 어디서 데이터를 구할 수 있는지, 누구를 대상으로 무엇을 조사하고 있다는 것인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.
통계청 승인통계로 검색 가능한 데이터들 중 현재까지 패널의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데이터로, 통계의 신뢰성과 관리 책임성 등을 심사하여 승인받은 데이터입니다(통계법 제18조). 새롭게 시작된 패널은 추가하고, 횡단면 연구로 바뀌거나 다른 조사와 통합된 경우 현 상태를 반영하여 포함/제외했습니다."
출처: 2021 국내 승인 패널데이터 현황, 쏘프라이즈
청년패널조사의 목적은 이러합니다.
"청년실업은 지속된 경기위축 뿐만 아니라 경력 중시형 노동시장 변화, 교육-노동시장간 괴리에 의한 인력수급의 양적·질적 불일치, 이로 인해 발생하는 구조적인 문제, 수요·공급자간의 노동시장 정보 교류의 미활성화 등 많은 복합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. 청년실업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더 이상 개개인의 문제가 아닌 정부차원의 다양한 정책 시도를 통한 해결이 강구되고 있는 시점이다.
이를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현장성 강화, 진로 및 직업지도의 내실화 등 공급측면의 구조적 개선이 급선무이고, 이를 통한 유망한 취업시장의 정보제공 및 인력수급 미스매치 부분을 완화시켜 나가야 한다.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차적인 수행과제로 청년들의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 이행(school to work transition) 및 이동과정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며,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시작된 것이 바로 청년패널조사(Youth Panel)이다." (청년패널조사(YP)의 YP 조사개요 발췌)
